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카길애그리퓨리나
- 영아카데미
- 4차산업혁명
- 대한민국의학한림원
- 도나스트리클런드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한민구원장
- IAP
- 코로나19
- 인재양성
- Y-KAST
- 한림원탁토론회
- 과학기술유공자
- 공동포럼
- 노벨상
- 과학기술
- 젊은과학자
- 과학난제
- 국제한림원연합회
- 식량영양안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림석학강연
- 한림원
- CPA기술
- 과학난제도전협력지원단
- 인공지능
- 카길한림생명과학상
-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고출력레이저
- Today
- Total
목록한림원 사람들/회원 (169)
생명과학자로서 바이오벤처를 이끌고 있는 성영철 제넥신 회장(이학부 정회원)이 지난 3월 6일 한림원 발전을 위한 기부금을 전달했다. 성영철 회장은 연세대학교를 졸업, 미네소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89년부터 POSTECH 생명과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백신 및 면역치료(Vaccine & Immunotherapy), 줄기세포기반 암유전자 치료(Stem Cell-based cancer gene therapy)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성과를 내던 성 회장은 1999년 DNA백신 기술을 바탕으로 제넥신을 설립했다. 제넥신은 2005년 임상시험 실패로 폐업 직전까지 내몰렸으나, 2006년 약효를 획기적으로 늘리는 하이브리드FC 개발에 성공하고, 기술이전에 성공하며 2009년 기술특례로 코스닥시장에 상장했으며 글로벌 ..
[김기남 부문장(좌), 권성훈 교수(우)] 김기남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공학부 정회원)이 '제22회 한국공학한림원 대상' 을 수상했다. 김 부문장은 30년 이상 반도체 개발에 종사하며 최고 수준의 시스템 반도체 기술을 확보했으며, 특히 세계 최초 3차원 V(vertical·수직)낸드 플래시 메모리 상용화를 주도해 한국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린 공로를 인정받았다.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ST) 회원인 권성훈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한국공학한림원에서 수여하는 '젊은공학인상'을 받았다. 권 교수는 응급패혈증 환자를 위한 초고속 항생제 감수성 검사 기술을 상용화했다.
인공지능 컬링로봇으로 인간과 대결 인공지능과 기계학습 분야의 최고 권위자인 이성환 고려대학교 뇌공학과 교수(공학부 정회원)가 이끄는 컨소시엄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로봇-인간 컬링경기'를 진행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월 8일, 경기도 이천 대한장애인체육회 이천훈련원 컬링센터에서 '인공지능(AI) 컬링로봇 시연회'를 개최했다. 시연회에서는 고려대학교,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엔티로봇 등이 참여 중인 고려대학교 컨소시엄이 개발한 컬링로봇 '컬리(Curly)'와 춘천기계공고팀의 대결이 펼쳐졌다. 인간을 대표해 경기에 나선 춘천기계공고팀은 고등부팀이지만 대회 우승 경력도 있는 실력자들이다. 컬리는 스킵로봇과 투구로봇으로 이루어져 있다. 스킵로봇은 카메라로 인식한 경기 영상으로 투구전략을 세우고, 투구로..
식품과학기술 한 분야에서 50여 년을 연구와 교육에 전념한 신동화 전북대학교 명예교수(농수산학부 종신회원)이 '넓게 보는 식품과학기술개론'을 출간했다. 해당 서적은 식품과학기술이라는 좁은 범위를 넘어 우주와 인간, 인간의 먹이가 어떻게 인간사에 영향을 끼쳤으며,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식품과학기술은 어떻게 변해 왔고 현재의 수준과 함께 앞으로 어떤 모습이 될 것인가를 일목요연하게 제시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기를 맞아 식품산업과 과학기술계가 해야 할 일과 학문간 융합방향을 제시하는 등 미래를 예측한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 아울러 식품관련 국가 제도와 정책분야의 제언도 포함하고 있어 대학에서 공부하는 식품과학기술학도는 물론이고 식품산업 종사자, 연구기관이나 정부관련 기관 등에서 일하는 사람에게 연구나..
아시아 최대 과학기술 국제기구를 이끌고 있는 김유항 아시아과학한림원연합회(The Association of Academies and Societies of Sciences in Asia, 이하 AASSA) 회장(이학부 종신회원)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 1월에도 한국과학기술한림원에 기부금을 전달했다. AASSA는 아시아·오스트랄라시아 지역 30개국 34개 회원기관이 소속되어 있으며, 현재 해당 지역 내 과학자들의 교류와 공동연구, 토론의 장을 열어 세계과학계에서 아시아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있다. 김유항 회장은 2016년 10월 21일 터키 앙카라에서 열린 '제3회 AASSA총회'에서 실시된 '이사회 선거'에서 회원국들의 높은 지지를 얻어 회장에 당선됐다. 김 회장은 2014년부터 2년 간 AASSA 사무총장..
스트레스에 대한 생체방어 조절기전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이상열 경상대학교 교수(농수산학부 정회원)가 지난 3월 5일 한림원 발전을 위한 기부금을 전달했다. 이상열 교수는 식물단백질생화학 전문가로서 기후변화 대응 농작물 개발을 위한 농생명체(식물, 미생물)의 스트레스 저항성 생체방어 신호체계를 규명하고, 극한의 환경에서도 생육 가능한 식물체 유전자 발굴 등 눈부신 성과를 내며 환경스트레스 분야 전문가로 국제적 명성을 떨쳤다. 특히 기상이변, 가뭄, 사막화 등 재해에 대응할 수 있는 식물체 유전자 대량 발굴 및 발현 조절 시스템과 신기능 유용물질 대량생산 시스템 확립을 위한 분자농업 체계를 구축한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 달 '제3회 카길생명과학상'을 수상했다. 또한 이 교수는 교과부 국가핵심연구센터(NCRC..
손영우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ST) 회원(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교수)이 '2018 포스코청암상' 과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손 교수는 지난 20여 년 간 정밀한 슈퍼컴퓨터 계산과 수학을 이용해 나노물질의 물성에 대한 다양한 이론을 확립한 그래픽 나노구조 이론 분야의 세계적인 과학자다. 특히 그래핀 나노리본이 전기장으로 자성 제어가 가능하다는 이론적인 토대를 구축해 휘는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컴퓨터 등 일상생활에서 그래핀 나노리본의 활용 가능성을 확대시키는 근거를 마련한 연구업적으로 이번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지난해 8월 말 정년퇴임한 박영우 이학부 정회원(서울대 물리천문학부 명예교수)은 서울대학교 응용물리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재임용되어 2020년 8월까지 한-스웨덴 국제공동연구과제를 수행한다. 또한 박 교수는 올해 1월 1일부터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 물리천문학과 비상근교수(Adjunct Professor)로 임용되었다.
한림원 공학부 종신회원인 허진규 일진그룹 회장이 한국 제조업 발전에 공헌한 공로로 지난 2월 9일 POSTECH(포항공과대학) 명예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허 회장은 서울대 금속공학과를 졸업하고 28세였던 1968년 일진금속공업을 설립해 제조업에 뛰어들었다. 동복강선(銅覆鋼線·구리를 입힌 전선), 공업용 다이아몬드 등 부품·소재 산업에 집중해 일진그룹을 연 매출 3조원의 기업으로 키웠다. 수입에 의존하던 핵심 부품과 기술을 국산화하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산업계의 평가다. 한국공학한림원 이사장, 한국발명진흥회 회장, 광주과학기술원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2008년 정부가 기업인에게 주는 최고 훈장인 금탑산업훈장을 받았고 2016년에는 서울대 공대가 꼽은 '우리가 닮고 싶은 공대인'으로 선정됐다. 또한 한국..
[이재홍 공학부 정회원] 이재홍 공학부 정회원(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이 국제전기전자공학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이하 IEEE) 2018년도 석학회원 선정위원회 위원으로 선임됐다. IEEE는 전기·전자·컴퓨터·통신 등의 분야에서 세계 최대 권위와 규모를 가진 학회로 160개국 42만5000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석학회원(Fellow)은 IEEE의 최고 영예 회원이며 이들을 선발하는 선정위원회는 현재 52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원은 46개 개별 학회에서 추천된 IEEE 석학회원 중에서 선임되며 이재홍 교수는 2016년부터 3년 연속 위원으로 선출됐다. 이 교수는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졸업하고 미국 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