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과학난제도전협력지원단
- 고출력레이저
- 영아카데미
- 공동포럼
- Y-KAST
- 한림원탁토론회
- 과학기술유공자
- 인재양성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국제한림원연합회
- 4차산업혁명
- 도나스트리클런드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대한민국의학한림원
- IAP
- 인공지능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카길애그리퓨리나
- 카길한림생명과학상
- CPA기술
- 코로나19
- 한림석학강연
- 젊은과학자
-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 과학기술
- 과학난제
- 노벨상
- 한민구원장
- 식량영양안보
- 한림원
- Today
- Total
목록한림원 사람들/회원 (169)
[김명자 이사] 김명자 이사(정책학부 종신회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국제자문단 위원으로 선임됐다. 임기는 2년이다. AIIB의 국제자문단은 국제금융, 경제, 지속가능한 환경, 국제관계, 개발 이슈 분야의 명망 있는 전문가 11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AIIB의 전략, 정책, 운영방향 등 주요 이슈에 대해 자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안영근 의약학부 정회원] 안영근 의약학부 정회원(전남대학교 교수)이 한국혈전지혈학회 제11기 이사장으로 선출됐다. 임기는 2년이다. 안 교수는 지금까지 총 851편의 논문(국제 학술지 442편, 국내 학술지 409편)을 발표했으며, 국내외 특허도 15건에 달하는 뛰어난 연구실적을 거두고 있다. 특히 세계 최초로 약물과 유전자를 동시에 방출하는 심혈관계 스텐트를 개발해 국내는 물론 미국·일본에 특허등록 했으며, 국내 최초로 심내막 이식시스템(NOGA-guided endocardium injection system)을 도입하는 큰 성과를 이루기도 했다. 한국혈전지혈학회는 1991년 창설되었으며, 혈액학·진단검사의학·심장학·신경학 등 임상의학자를 비롯해 다양한 기초의학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해 혈전과 지혈에 ..
[주영석 차세대회원] 주영석 차세대회원(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이 서경배과학재단 신진과학자로 선정됐다. 암세포에서 유전체의 구조 변이가 암 유전체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한 선도적이고 혁신적인 연구를 제안했다. 주 교수는 암 유전체 구조를 연구하게 된다. 서경배과학재단은 2016년에 서경배 회장이 사재로 기부한 3000억 원 규모의 출연금으로 설립되었으며, 재단은 창의적인 기초 과학자를 육성하고 생명과학의 발전을 도모해 인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지난해 처음 5명의 신진과학자를 선발했다. 올해 새로 선정한 5명까지 총 10명이 진행하고 있는 과제에 5년간 1인당 매년 3억∼5억 원씩 연구비를 지원한다.
금종해 이학부 정회원(고등과학원 교수), 이상열 농수산학부 정회원(경상대학교 교수), 안종현 차세대회원(연세대학교 교수)가 제63회 대한민국학술원상을 수상했다. 금종해 교수는 대수기하학 분야의 난제인 ‘K3 곡면의 사교 유한대칭군의 분류 문제’를 해결해 그 공로를 인정받아 자연과학기초 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 이상열 교수는 식물체의 환경 스트레스 면역연구에 매진해 작물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공헌해 자연과학기초 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 안종현 교수는 나노소재의 발전을 주도하는 석학으로, 플렉시블 그래핀 터치 패널, 단결정 실리콘 박막 기술을 개발하는 등 세계적인 연구실적을 쌓은 공로를 인정받아 자연과학응용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 대한민국학술원상은 세계적인 수준의 우수하고 독창적 연구 업적을 이룬 학자에게 ..
[윤대진 농수산학부 정회원] 윤대진 농수산학부 정회원(건국대학교 교수)이 한국식물학회 제35대 회장으로 선출됐다. 임기는 내년 1월부터 2년이다. 윤 교수는 식물생명공학분야를 선도하는 세계적인 과학자로서 Cell, Nature, PNAS 등 국제저널에 약 200여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마크로젠 과학자상, 한국식물학회 최우수 논문상, 한국식물생명공학회 학술상, 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 우수논문상 등을 수상했다.
[황철성 서울대 교수] 황철성 공학부 정회원(서울대학교 교수)이 제32회 인촌상 과학기술 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 시상식은 10월 11일이다. 황철성 교수는 서울대에서 학사와 석사, 박사를 모두 마치고 1994년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 선임연구원을 거쳐 1998년부터 서울대 재료공학부에서 강의와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국내 반도체 산업을 견인한 D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소재와 함께, 새로운 메모리 소자인 저항 스위칭 메모리의 작동 원리를 연구해 미래 메모리 소자 분야를 개척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인촌상은 재단법인 인촌기념회와 동아일보사가 인촌 김성수 선생의 유지를 기리기 위해 1987년 제정한 상으로 대한민국 국민이며 교육, 언론·문화, 인문·사회, 과학·기술 분야에서 사회에 큰 공로가 있는 자를 분야..
[(왼쪽부터) 최진호 이화여대 석좌교수, 안진흥 경희대 학술연구교수, 황규영 KAIST 명예교수] 한림원 회원(최진호, 안진흥, 황규영 교수)이 7월 13일 2018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신임회원으로 선출됐다. 최진호 이학부 정회원(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은 무기화학 분야, 안진흥 이학부 종신회원(경희대학교 학술연구교수)은 생물학 분야, 황규영 공학부 정회원(KAIST 명예교수)은 컴퓨터 분야 신임회원으로 선출됐다. 대한민국학술원의 회원은 각 학문분야별 학술단체로부터 저명하고 권위 있는 회원후보자를 복수로 추천 받고 회원심사위원회의 심사와 부회의 후보자 결정과 총회의 승인을 받아 최종 선정된다. 인문‧사회과학부 75명, 자연과학부 75명, 정원 총 150명으로 구성되며 「대한민국학술원법」에 따라 평생 동안 ..
채종일 의약학부 정회원(한국건강관리협회 회장)이 19일부터 24일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제14차 세계기생충학회 총회(ICOPA 2018)에서 세계기생충학자연맹(World Federation of Parasitologists, WFP) 회장으로 선출됐다. WFP 회장에 우리나라 학자가 선출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며, 임기는 4년이다. WFP는 1960년 폴란드에서 설립되었으며, 현재 전 세계 40여개국 100여개 회원학회가 가입된 기생충 연구 및 질병 관리를 위해 활동하는 기생충학자들의 국제 모임이다.
[이창희 공학부 정회원] 이창희 공학부 정회원(서울대 교수)이 삼성디스플레이 부사장으로 위촉됐다. 이 교수는 2004년부터 2년여간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국제표준화 분과위원장을 역임하며 당시 상용화를 목전에 두고 있던 OLED 기술의 표준화를 주도했으며, 지난 2015년에는 세계 최고 효율의 RGB 퀀텀닷 재료를 개발하는 등 디스플레이 소재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성과를 거뒀다. 이 교수는 오는 9월부터 삼성디스플레이에서 차세대 디스플레이 재료 및 제품 개발에 매진할 예정이다.
[박태성 이학부 정회원] 박태성 이학부 정회원(서울대 교수)이 미국통계학회(ASA) 석학회원(ASA Fellow)으로 선정돼 지난 7월 31일 캐나다 밴쿠버에서 개최된 JSM(the Joint Statistical Meetings)에서 시상식을 가졌다. 미국통계학회는 1839년 발족한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권위와 많은 회원을 보유한 대표적 통계학회로 손꼽히며, 매년 통계학의 이론과 응용에 현저히 기여한 학자를 석학회원으로 선정하고 신규 석학회원은 전체 회원의 0.33% 이하로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다. 박 교수는 대규모 생물정보학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새로운 통계적 방법론을 개발했고 공동연구를 통해 다양한 임상연구와 대규모 국제 유전체 컨소시움 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등 지난 20여년간 생물통계학·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