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IAP
- 영아카데미
- 과학기술유공자
- 한림원탁토론회
- 코로나19
- Y-KAST
- 과학난제도전협력지원단
- 도나스트리클런드
- 인재양성
- 고출력레이저
- CPA기술
- 인공지능
- 카길애그리퓨리나
- 과학기술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대한민국의학한림원
- 과학난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공동포럼
- 식량영양안보
- 카길한림생명과학상
- 4차산업혁명
- 한민구원장
- 노벨상
-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젊은과학자
- 국제한림원연합회
- 한림석학강연
- 한림원
- Today
- Total
목록인재양성/한림콜로키엄 (10)
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한민구, 이하 한림원)은 지난 3월 19일(금) 15:00시부터 서초구 aT센터 서계로룸1에서 ‘김치종주국진실 논란'을 주제로 제125회 한림콜로키엄을 개최했다. 한림원 농수산학부가 주관한 이번 콜로키엄은 최근 논란이 된 중국의 김치 종주국 주장과 관련 식품학적 발생과정에 김치 탄생의 단계를 정리하고자 마련됐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한민구, 이하 한림원)은 지난 12월 16일 오전 10시 온라인(한림원회관)으로 ‘Phyomediomics와 Nutriomics의 최근 동향’을 주제로 제124회 한림콜로키엄을 개최했다. 임용표(충남대) 교수가 주관한 이번 콜로키엄은 약용식물자원에 대한 유전체 연구와 이를 활용한 기능성연구 및 영양유전체학적인 접근에 관한 최근의 세계적인 흐름을 알아보고자 마련됐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한민구, 이하 한림원)은 지난 11월 27일 오전 10시 서울시립대학교에서 ‘환경변화와 자연자원’을 주제로 제123회 한림콜로키엄을 개최했다. 한림원 농수산학부 5분과가 주관한 이번 콜로키엄은 환경변화에 따른 자연자원의 변화의 현황에 대한 농수산학부의 다양한 전공과 기관의 회원들이 만나는 소통의 시간이 마련됐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한민구, 이하 한림원)은 지난 11월 9일 오후 3시 경상대학교에서 ‘식량문제 해결을 위한 식품 및 식물생명과학 융복합 전략’을 주제로 제122회 한림콜로키엄을 개최했다. 한림원 농수산학부 4분과가 주관한 이번 콜로키엄은 세계적인 인구증가와 산업화에 따른 이상고온 및 기후온난화 등의 환경변화 적응가능 작물개발과 식량확보를 위한 식물, 미생물, 식품 생명공학의 융복합 연구 방법 및 성과 공유 등 농수산학부의 다양한 전공과 기관의 회원들이 만나는 소통의 시간이 마련됐다. 이번 콜로키엄에는 권대영 한국식품연구원 박사(농수산학부 정회원), 윤대진 건국대학교 교수(농수산학부 정회원), 김외연 경상대학교 부교수, 권순경 경상대학교 조교수 등이 주제 발표를 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한민구, 이하 한림원)은 지난 5월 29일 오후 전북대학교 글로벌인재관에서 ‘ 의약학분야의 최신 연구동향 ’을 주제로 제121회 한림콜로키엄을 개최했다. 한림원 의약학부가 주관한 이번 콜로키엄은 전북대학교 약학대학 유치와 신설을 축하하고 2020년도 의약학부 신입 정회원 및 차세대회원을 환영하는 취지로 준비가 되었으며 다양한 전공과 소속의 회원들이 만나 정보와 연구성과 공유 등 소통의 시간이 마련됐다. 행사에는 한민구 한림원 원장, 김동원 전북대학교 총장, 문승현 광주과기원 전 총장(이학부 정회원) 등을 비롯한 한림원 정회원과 전북대학교 약학대학 연구원 및 학생 등 60여명이 참석했다. 세션 1에서는 서영거 차의과대학 교수(의약학부 정회원), 김상건 서울대 교수(의약학부 정회원),..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주최, 의약학부 주관의 '제120회 한림콜로키엄'이 지난 6월 26일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임우성 국제회의실에서 '의약학분야의 최신연구 동향'을 주제로 개최됐다. 한민구 한림원 원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김우승 한양대학교 총장과 최호순 한양대학교 의무부총장의 축사가 진행됐다. 이번 콜로키엄에서는 2019년도 의약학부 신입 정회원 및 차세대회원이 미생물, 신경, 피부과학, 약학, 한의학 등 각 분야의 최신연구 동향을 발표했으며, 다양한 전공과 소속의 회원들이 만나 정보와 연구성과 공유 등으로 미래지향적인 소통의 시간이 마련됐다. 신의철 KAIST 교수, 정천기 서울대 교수, 변영로 서울대 교수, 이경림 이화여대 교수, 김범경 연세대 교수, 김혜성 가톨릭대학교 교수, 이상훈 한국한의학연구원 책..
■ 한림원 호남제주교류회 주관 '제119회 한림콜로키엄' 개최 4차 산업혁명 시대와 지속가능 과학기술 주제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4월 5일 오후 제주 시리우스호텔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와 지속가능 과학기술’을 주제로 제119회 한림콜로키엄을 개최했다. 호남제주교류회가 주관한 이번 콜로키엄에서는 △문승현 GIST 前총장(공학부 정회원)의 ‘4차 산업혁명과 과학기술’ △이효연 제주대 교수의 ‘GMO 잔디 개발 및 환경위해성 평가’ 등의 특별강연이 진행됐다. 최희철 GIST 교수(공학부 정회원)가 사회자로 참여했고 전유진 제주대 교수(농수산학부 정회원) 등이 참여했다. 주제발표 연사로 참여한 문승현 GIST 前총장(공학부 정회원)은 서울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일리노이공과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3월 27일 오후 KAIST 영빈관에서 '로봇 및 의생명과학분야의 최신 동향(Recent Advances in Robotics and Biomedical Sciences)'을 주제로 제118회 한림콜로키엄을 개최했다. 대덕교류회가 주관한 이번 콜로키엄에서는 △오준호 KAIST 기계공학과 교수의 '로봇 기술과 미래' △김호민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의 '단백질의 구조, 기능 및 임상응용' 등의 주제발표가 진행됐다. 연사로 참여한 오준호 교수는 로봇공학의 세계적인 대가로서 2004년 휴보로봇을 발표한 이래 기술적 개선을 거듭했고, 최근에는 다르파 로보틱스 챌린지(Darpa Robotics Challenge)에서 우승한 바 있다. 또한 레인보우 로보틱스 창업, 평창동계올림픽 로봇지원단 ..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2월 28일 오후 KTX울산역사 백로실에서 '산화질소와 수산양식이 우리 미래에 끼치는 영향'을 주제로 제117회 한림콜로키엄이 개최했다. 부울경교류회가 주관한 이번 콜로키엄에서는 △정헌택 울산대학교 교수의 'No, NO means yes!' △배승철 부경대학교 교수의 '국내외 수산양식현황 및 최근연구동향' △김윤수 전남대학교 교수의 '수침 고목재 열화의 특성(水沈 古木材 劣化의 特性)' 등의 주제발표가 진행됐다. NO(산화질소)는 우리 신체에서 만들어질 뿐만 아니라 혈액이 통과하는 혈관의 직경을 넓혀 혈압을 내린다고 알려져 있으며, 최근 성인병 예방 및 치료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생체기체에 대한 권위자인 정헌택 교수는 NO와 CO에 대해 수년 간 연구한 내용을 발표하며, NO 연구가..
[제116회 한림콜로키엄 주요참석자 단체사진] 우리 한림원은 지난 7일 KAIST Faculty Club에서 대덕교류회 주관의 제116회 한림콜로키엄을 개최했다. ‘유전자 교정과 빅데이터의 최신 동향(Recent Advances in Genome Editing and Big Data)’을 주제로 한 이번 콜로키엄에서는 유대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농수산학부 정회원)과 정하웅 KAIST 교수(이학부 준회원)가 발표자로 나섰다. 질환모델동물개발 및 기능연구 분야의 전문가인 유대열 책임연구원은 주제인 ‘동물의 유전자 교정(Genome Editing in Animals)'에 대해 오늘날 질환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마우스를 중심으로 설명했다. ‘복잡계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