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과학난제도전협력지원단
- 과학기술유공자
- IAP
- 카길애그리퓨리나
- 공동포럼
- 카길한림생명과학상
- 한림원탁토론회
- 식량영양안보
-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CPA기술
- 대한민국의학한림원
- Y-KAST
- 한림원
- 영아카데미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도나스트리클런드
- 인공지능
- 인재양성
- 노벨상
- 4차산업혁명
- 과학난제
- 과학기술
- 국제한림원연합회
- 젊은과학자
- 고출력레이저
- 한민구원장
- 한림석학강연
- 코로나19
- Today
- Total
목록한국과학기술한림원 (976)
정보 안전 기술 연구 및 정책 동향 A씨(33)는 최근 휴대폰 주소록에 입력된 사람들 모두에게 단체 문자를 보냈다. 좋은 소식이나 명절맞이 안부 인사였으면 좋으련만 내용인즉슨, “제 이름으로 돌잔치 안내문자가 간 것 절대 클릭하지 마세요. ㅠ.ㅠ 스미싱입니다.” 그 역시 지인이 보내온 돌잔치 안내문자의 주소를 열어봤을 뿐인데 그와 동시에 28만원 결재는 물론이고, 자신의 번호로 휴대폰 주소록에 등록된 모든 휴대폰번호에 같은 문자가 모조리 발송됐다. 선량한 시민이 피해자임과 동시에 본의 아니게 가해자가 되는 순간이다. 인터넷이 손 안으로 들어오면서 이제 해킹은 PC와 휴대폰을 가리지 않고 모든 영역에서 일어나고 있다. 몇몇 혁신적인 IT기업들 사이에서는 뜨는 시장으로 각광받는 ‘빅데이터’가 화두지만, 실제..
나도선 출판홍보담당 부원장, 인도서 ‘여성과학자의 연구와 교육’ 워크숍 참석 지난 9월 24일부터 27일까지 4일간 인도 뉴델리에서 인도한림원(INSA, Indian National Science Academy)이 주최하는 ‘제2회 남아시아과학한림원 정상회의(The Second Summit of the South Asian Science Academies)’가 개최됐다. 이번 행사에서는 AASSA와 인도한림원이 공동 주최하는 ‘과학교육과 연구 분야의 여성과학자(Women in Science Eduacation and Research)’ 워크숍(이하 여성과학자 워크숍)이 별도 세션으로 진행됐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에서는 나도선 출판홍보담당 부원장과 조은희 조선대학교 교수가 한림원을 대표해 참석했다. 나 부원..
대전·부산·구미·나주 등서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헌정인물 팝아트展' 순회전시 역사에 남을 우리나라 대표 과학기술자를 꼽아보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장영실, 우장춘까지 떠올린 후 머뭇거려진다면, ‘과학기술인명예의전당’ 홈페이지(http://kast.or.kr/HALL/)를 꼭 방문해보자. 탁월한 업적을 보유한 30여명의 우리 과학기술인들을 만나볼 수 있다. 과학기술인명예의전당은 국가 발전과 국민 복지 향상에 기여한 과학기술인을 선정해 업적을 기리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지금까지 헌정된 인물은 △최무선 △이천 △장영실 △세종대왕 △이순지 △허준 △홍대용 △서호수 △정약전 △김정호 △김점동 △이원철 △윤일선 △우장춘 △조백현 △이태규 △안동혁 △김동일 △석주명 △장기려 △현신규 △최형섭 △김순경 △김재근 △..
'제88회 한림과학기술포럼' 개최 정선양 건국대학교 밀러MOT스쿨 원장 주제발표 1953년, 정전협정으로 만들어진 군사적 완충지대 ‘DMZ(Demilitarized Zone)’. 가장 적막하면서 동시에 긴장감 넘치는 공간인 DMZ에 대한 논의가 그 어느 때보다 뜨겁다. 박근혜 대통령이 ‘DMZ세계평화공원’ 조성에 대한 의지를 거듭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은 지난 5월 8일 미국 의회연설에서 이를 처음 언급했고 이후 통일부에 기획단이 꾸려졌다. 광복절 경축사에서 북한에 한 공개제안은 중국 시진핑 주석을 통해 북한에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반기문 유엔(UN) 사무총장도 박 대통령 접견 후 적극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역대 정부에서 지속적으로 거론됐던 ‘DMZ세계평화공원’이 이번 정부에서 보..
제1회 한국·독일한림원 공동심포지엄 개최 양국 석학 18명 연구 발표, 젊은 과학자 토론 세션 등 진행 “저희가 이번 연구를 통해 얻어낸 68개의 새로운 RNA결합단백질(RNA-Binding protein:RPBs) 후보물질들은 다른 세포와 비교해서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ESC)에서 높게 발현되었고, 이 중 2개는 단백질 조절 기작과 RNA 바이올로지 사이를 연결해주는 잠재성을 지녔음을 입증해줍니다. 향후 줄기세포 내 RNA-RBP 네트워크의 연구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기조강연에 나선 김빛내리 서울대학교 교수의 발표에 청중들의 이목이 주목됐다. 알브레히트 뮐러(Albrecht MULLER) 뷔르츠부르크(Wurzburg) 대학 교수 등 세계적 석학들의 발..
[창간인터뷰] 박성현 한국과학기술한림원장, 국가경쟁력과 미래 위한 과학기술 강조 20년차 과기한림원, 국제 교류, 정책 제안 활성화 목표 “물론 아쉽죠. 노벨과학상이 113년이나 되었는데 그 긴 세월 우리나라가 한 번도 못 받은 것이 왜 아쉽지 않겠습니까. 그러나 5∼10년 안에는 받을 것을 확신합니다. 그냥 하는 말이 아니라 통계학자로서 분석 결과입니다.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한 어느 나라든지, 국가가 기초과학에 투자한지 30∼50년 후에야 성과가 나옵니다. 우리나라는 1977년 한국과학재단의 창립과 더불어 기초연구가 시작되었으나 본격적인 기초연구 투자는 1990년 우수연구센터(SRC/ERC)육성사업 추진이 된 해부터 봐야 합니다. 이를 근거로 10년 내에는 반드시 받을 수 있다고 보고, 아쉽지만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