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위기의 식량 안보, 과학기술과 국제협력에서 해법 찾다 본문

국제교류 및 협력 증진/AASSA 운영

위기의 식량 안보, 과학기술과 국제협력에서 해법 찾다

과기한림원 2019. 9. 24. 14:20

2019 아시아과학한림원연합회 이사회 및 워크숍 개최

아시아 지역 농업과학전문가 30여 명 한 자리…분야별 발전 방향 심층 토론

 

'AASSA-KAST Regional Workshop'이 23일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열렸다.

아시아 지역의 폭발적 인구증가와 산업화,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식량안보에 적신호가 켜진 가운데 아시아지역 농업과학분야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지속가능농업의 발전방향을 토론하는 행사가 마련됐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한민구)과 아시아과학한림원연합회(Association of Academies and Societies of Sciences in Asia, AASSA)923()24() 양일 간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AASSA-KAST Regional Workshop’‘2019년도 AASSA 이사회를 공동 개최했다.

 

AASSA는 아시아 최대 과학기술 국제기구로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30개국 33개 기관이 가입되어 있으며 국제한림원연합회(IAP)가 선정한 공식 아시아지역 제휴 네트워크다. 현재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사무국을 운영하고 있으며, 김유항 인하대 명예교수(한림원 이학부 종신회원)가 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이번 워크숍은 지속가능농업을 위한 작물생명공학(Crop Biotechnology for Sustainable Agriculture)’을 주제로 중국·일본·러시아·필리핀 등 12개국 AASSA 회원국에서 추천한 19명의 연사가 최신 연구내용을 발표하고 해당 분야의 발전방향, 융합 및 공동연구 모색 등을 주제로 밀도 높은 토론을 진행했다.

 

한민구 원장은 이번 워크숍 개최를 통해 국내 및 아시아지역이 당면한 식량과 영양안보를 함께 풀어갈 수 있는 과학기술적 실마리를 찾고, 나아가 아시아지역 농업생명공학기술 협력을 위한 지식공동체 구축과 지속가능농업을 위한 정책결정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아시아 지역의 합심, 과학기술 국제협력 선행돼야

 

기조강연자로는 박현진 고려대학교 교수(한림원 농수산학부 정회원)가 나섰다. 그는 아시아의 식량영양안보 및 농업연구: 기회와 도전을 주제로, 국제한림원연합회(IAP for Science)UN 지속가능발전계획(SDGs, 2015~2030)에 대응하기 위해 수행한 식량·영양안보와 농업(Food and Nutrition Security and Agriculture, FNSA)’ 프로젝트 중 아시아지역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박 교수는 “21세기에 인간이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도전 중 하나는 빠르게 성장하는 세계 인구를 위해 영양가 있고 건강한 음식의 공급을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보장하는 것이라며 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은 국가별 식량시스템이 다양하고 광범위하지만 지속 가능한 식량생산 및 공급을 실현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는 , 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의 잠재력은 여러 국가가 합심하지 않는 한 실현될 수 없다고 경고한 뒤, “공동의 연구와 교육 부분을 크게 강화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식품 순공급량을 증가시키는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박 교수는 학제간 협력 연구 프로그램을 통해 지식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라며 그 지식이 자유롭고 광범위하게 공유될 수 있게 하려면 각 지역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곽상수 AASSA-KAST Regional Workshop 조직위원장(한림원 농수산학부 정회원) 역시 인터뷰를 통해 전 아시아 지역의 공동체 의식이 가장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UN의 자료에 따르면 2050년 세계 인구 전망은 97억 명에 달하는데, 지금보다 식량이 1.7, 에너지는 3.5~5.5배 더 필요하다고 예상하고 있다라며 식량 문제는 우리의 당면 문제로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곽 위원장의 설명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식량 안보 측면에서 볼 때 위기 상황이다. 그는 국내 곡물 자급률은 24%에 불과한데, 이에 대한 문제 인식 자체가 확산되지 않고 있다고 분석한다. 곽 위원장은 국가 생존과 직결되는 미래의 식량 안보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는데, 우리나라는 돈만 있으면 식량을 수입할 수 있다는 안일한 생각으로 오랫동안 문제를 방치해 왔다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합심하는 마음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곽 위원장은 한림원과 아시아과학한림원연합회의 전방위적 활동이 식량 안보 위기 상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그는 우리나라 대표 석학들이 모인 한림원과 아시아 지역 과학기술 전문가들이 모인 아시아과학한림원연합회가 합심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국가는 식량안보 구축을 위한 중장기 정책을 수립하고 과학자들은 높은 수준의 연구 철학에 입각해 식량안보 구축을 위한 본질적인 문제 해결 연구에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기조강연 후 이어진 세부세션에서는 식물과학(Plant Science), 작물생명공학(Crop Biotechnology), 국가별 현황과 정책 등으로 나뉘어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 가능한 첨단 생명공학기술 연구현황을 발표하고 토론을 진행했다. 워크숍의 결과는 국제한림원연합회를 비롯하여 주요 관련정책기관에 제공하여 지속가능농업을 위한 정책결정자들의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보고서로 제공할 예정이다.

 

워크숍을 마친 후 찍은 기념사진. 12개국에서 모인 농업과학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2019년도 AASSA 이사회'가 23일 더케이호텔에서 열렸다.

AASSA 운영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2012년부터 아시아 최대 과학기술단체 아시아과학한림원연합회(AASSA)’의 사무국을 운영하며 국제 무대에서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위상을 드높이고 있다.

 

1. AASSA 사무국(Secretariat) 운영

AASA(아시아과학한림원연합회, 2000년도 설립)FASAS(아시아과학기술단체연합, 1984년도 설립)의 통합으로 2012년 출범한 아시아 최대 과학기술 국제기구로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30개국 33개 회원기관으로 구성

현재 4대 회장으로 김유항 박사(한림원 종신회원) 선출

 

2. AASSA Regional Workshop/International Symposium

AASSA 회원기관의 기획 및 주관으로 개최되는 워크숍 및 국제심포지엄

아시아 지역 내외의 우수과학자, 해외석학 등 약 20인을 초청, 2일간 진행함(연간 45회 개최)

주제는 UN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와 궤를 같이하며, 주로 아시아·오스트랄라시아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방점을 둠

 

3. 국제한림원연합회 아시아지역 제휴 네트워크 (IAP Affiliated Regional Network for Asia) 활동

국제한림원연합회가 선정한 4개의 공식 지역 네트워크(아시아 AASSA, 유럽 EASAC, 미주 IANAS, 아프리카 NASAC) 중의 하나로 활동하며 각종 프로젝트를 수행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