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인공지능
- 카길한림생명과학상
- 한민구원장
-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국제한림원연합회
- 영아카데미
- 코로나19
- 4차산업혁명
- 한림석학강연
- 과학난제
- 고출력레이저
- 식량영양안보
- 과학기술유공자
- CPA기술
- Y-KAST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IAP
- 과학기술
- 과학난제도전협력지원단
- 노벨상
- 대한민국의학한림원
- 공동포럼
- 인재양성
- 도나스트리클런드
- 젊은과학자
- 한림원
- 한림원탁토론회
- 카길애그리퓨리나
- Today
- Total
미래지구-한국 wrap-up 세미나 개최 본문
[워크숍 주요 참석자 단체 사진]
우리 한림원은 지난 2일과 3일 양일간 미래지구-한국 Wrap-up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미래지구의 세 가지 대의제인 ‘역동하는 지구(Dynamic Earth)’, ‘지구지속가능발전(Global Development)’, ‘지속가능성으로의 전환(Transformations towards Sustainability)’에 속하는 연구의제를 선정하기 위해 개최됐다. 이에 홍성유 미래지구한국위원회 미래지구연구회 회장과 윤순창 위원장을 비롯해 공우석 경희대학교 교수, 국종성 POSTECH 교수, 노정혜 서울대학교 교수, 손병주 서울대학교 교수, 예상욱 한양대학교 교수, 윤여창 서울대학교 교수, 이원호 서울대학교 교수, 이재학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박사, 정연돈 (사)한국그린전략경영협회 회장, 하경자 부경대학교 교수 등 10명의 연사가 참여하여 연구의제를 제안했다.
이중 총 11가지의 의제가 엄선되었으며 대의제별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 역동하는 지구 (Dynamic Earth)
- 지구시스템 (해양/대기/생태계/빙권/지권) 상호작용 이해 및 사회-경제 통합 모델링 (관측, 예측)
- 동아시아 대기오염 및 기후요소 변화 연구
- 기후변동성 및 인간 활동
- 기후변화 tipping point와 급격한 한반도 환경 변화
○ 지구지속가능발전 (Global Development)
- 환경 변화에 따른 생물 다양성 및 연안/도서 생태계 보전
-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
- 지속가능한 식량, 물, 에너지 시스템 구축
- 질병 및 재해 취약성 대응
○ 지속가능성으로의 전환 (Transformations towards Sustainability)
- 거버넌스: 자연+경제+사회를 통합한 균형 발전 (Social innovation을 통한 지속가능성으로의 전환)
- 한반도 생태-사회 시스템 지속가능성으로의 전환 연구 (북한과 연관된 이슈: 사회, 문화와 연관된 내용)
- 전략 수입: 에너지, water, 사회시스템, 식량, 질병, 자연재해를 위한 전략)
이 날 정리된 의제는 전 의원들의 의견이 반영되도록 보완한 뒤 내년 상반기 중 정부 관계 부처에 전달할 계획이다.
'국제교류 및 협력 증진 > 미래지구 한국위원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7회 미래지구-한국 워크숍 개최 (0) | 2016.11.22 |
---|---|
기후 ․ 환경 문제해결 위한 한림원 미래지구한국위원회 (0) | 2016.10.19 |
제 3회 '미래지구-한국' 워크숍 (0) | 2016.06.17 |
'미래지구와 아시아의 지속가능발전목표' 주제 국제심포지엄 개최 (0) | 2016.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