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과학계 신인상 받은 '젊은과학자상 수상자들'…20년 만에 주역으로 우뚝 본문

과학기술인 예우 및 시상/시상

과학계 신인상 받은 '젊은과학자상 수상자들'…20년 만에 주역으로 우뚝

과기한림원 2016. 8. 10. 15:11

역대 수상자 74인, 각종 성과·기록 쏟아내며 과학기술분야 선도
한림원, 오는 9월 9일까지 자연과학분야서 제 20회 수상후보자 추천서 접수

 

이상엽 KAIST 교수, 조민행 IBS 연구단장, 현택환 IBS 연구단장, 김대식 서울대 교수, 김빛내리 서울대 교수….

 

이들은 뛰어난 연구성과로 한국 과학기술계는 물론 세계무대에서 주목을 받으며 관련 연구분야를 이끄는 리더들이다. 그리고 이들의 또 하나의 공통점은 바로 '젊은과학자상' 수상자라는 것.

 

올해로 20회를 맞이하는 우리 한림원의 '젊은과학자상'은 뛰어난 잠재력을 가진 74인의 차세대 연구리더들을 배출하며, 한국과학계의 권위 있는 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997년 제정된 젊은과학자상은 연구개발 실적이 뛰어나고 향후 세계적인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40세 미만의 과학자를 발굴․포상함으로써 젊은 과학기술인들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국가 과학기술 발전의 주역으로 양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재 자연과학분야와 공학분야에서 격년으로 세부분야별 4명의 수상자를 선정하고 있으며, 수학의 필즈메달처럼 만 40세 미만으로 나이제한이 있어 쉽게 받기 어렵고, 일생에 단 한 번 받을 수 있어 '과학계의 신인상'이라고도 볼 수 있다.

 

특히 추천자들을 대상으로 연구업적에 대해 △전문분야별 심사, △군별 심사, △종합심사 등 3차에 걸쳐 까다롭게 평가하고 해당자가 없을 때는 선정하지 않기 때문에 젊은과학자상의 권위와 수상자들의 우수성은 정평이 나있다.

 

 

   

 

 

◆ 역대 수상자들, 각종 성과·기록 쏟아내며 과학기술분야 선도

 

젊은과학자상의 권위는 시간이 흐른 후 수상자들이 보여준 성과를 통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역대 수상자들은 과학기술계에서 뛰어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학계를 리드(lead)하고 있으며, 각 분야 및 기관에서 새로운 기록들을 쏟아내고 있다.

 

제 1회 젊은과학자상만 봐도, 공학부문에서 선정된 4명의 수상자들인 서대식 연세대(수상 당시에는 숭실대 소속) 교수(전기), 최해천 서울대 교수(기계), 이상엽 KAIST 교수(화공), 박종문 POSTECH 교수(환경공학) 등이 20년이 흐른 후 걸출한 연구자로서 활약 중이다. 특히 수상 당시 KAIST 교수로 부임한지 4년째 되던 34세의 젊은 연구자였던 이상엽 교수는 현재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스타과학자가 됐으며, 서대식 교수는 젊은과학자 수상 후 8년 만인 2005년, 45세 나이로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의 회장에 선출되어 혁신적인 리더십을 발휘하기도 했다.

 

또 조민행 고려대 교수(화학·2회)와 현택환 서울대 교수(공업화학·5회) 등은 IBS(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으로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초과학 연구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으며, 김대식 서울대 교수(물리·6회)는 국가석학으로, 김빛내리 서울대 교수(생명과학·10회)는 국가과학자로 선정되는 등 한국을 대표하는 과학자로 인정을 받고 있다.

 

젊은과학자상 수상자들이 이후 세운 여러 가지 기록들도 흥미롭다. 김범식 고등과학원 교수(수학·6회)는 수상 4년 후 39세 나이로 최연소 '국가 석학'에 선정됐으며, 손훈 KAIST 교수(토목·11회)는 39세에 수상한 후 같은 해 KAIST 역사상 두 번째로 30대 교수가 ‘테뉴어(tenure:영년직 교수)' 심사를 통과하며 화제가 됐다.

 

젊은과학자상 수상자들이 선정 이후 지속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낼 수 있었던 데는 수상자들이 뛰어난 잠재력을 갖고 있었던 것이 가장 큰 요인이지만, 실제 수상자가 받는 혜택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수상자들에게 16회까지는 대통령상과 함께 연구장려금 1억 5000만원(3000만원씩 5년)이 주어졌기 때문에 연구비가 많지 않은 초임 교수 및 연구자들에게 큰 도움이 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권위 있는 상을 수상함으로써 인지도 및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었다. 다만 17회(2013년)부터는 대통령상과 포상금(5000만원)이 지급되고 있다.

 

◆ 오는 9월 9일까지 자연과학분야서 제 20회 수상후보자 추천서 접수

 

한편 우리 한림원은 오는 9월 9일까지 수학·물리학·화학·생명과학 등 자연과학분야서 '제 20회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 수상후보자를 추천 받는다.

 

최근 5년 이내 우수한 연구·개발 실적을 거둔 과학기술인을 대상으로 하며, 심사는 실적의 독창성, 우수성, 파급효과 등에 따른 발전 잠재력을 기준으로 진행된다. 각 분야에서 1인씩 총 4인을 최종 선정하여 대통령 상장 및 상금 5천만 원을 수여할 계획이다.

 

수상후보자는 대학, 연구기관, 관련 학회 등의 기관장 혹은 대표자이거나 5인 이상의 과학자로 구성된 추천인단이 추천할 수 있으며, 추천서 및 구비서류 양식, 심사절차, 심사기준 등 상세 안내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홈페이지(www.kast.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명철 원장은 "젊은과학자들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새로운 분야를 개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우리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라며 "잠재력 높은 유망 과학기술인들을 위해 포상 및 시상을 비롯해 실질적인 지원사업을 마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역대 수상자 명단/수상당시 소속기관 기준]

구 분

성 명

소속 / 직위

전 공

1

(1997)

1

서 대 식

숭실대학교 조교수

전기공학

2

최 해 천

서울대학교 조교수

기계공학

3

이 상 엽

KAIST 부교수

화학공학

4

박 종 문

POSTECH 부교수

환경공학

2

(1998)

1

강 석 진

서울대학교 부교수

수 학

2

안 경 원

KAIST 조교수

물 리 학

3

조 민 행

고려대학교 조교수

화 학

4

조 윤 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생명과학

3

(1999)

1

송 익 호

KAIST 교수

전자공학

2

이 혁 모

KAIST 부교수

재료공학

3

김 재 정

서울대학교 조교수

화학공학

4

(2000)

1

오 용 근

고등과학원 교수

수 학

2

이 경 진

고려대학교 부교수

물 리 학

3

남 원 우

이화여자대학교 부교수

화 학

4

김 재 섭

KAIST 조교수

생명과학

5

(2001)

1

이 병 호

서울대학교 부교수

전자공학

2

방 효 충

KAIST 조교수

항공우주공학

3

현 택 환

서울대학교 조교수

공업화학

4

김 동 수

KAIST 부교수

토목공학

6

(2002)

1

김 범 식

POSTECH 부교수

기 하 학

2

김 대 식

서울대학교 부교수

물 리 학

3

천 진 우

연세대학교 부교수

무기,나노화학

4

안 광 석

고려대학교 부교수

생명과학

7

(2003)

1

박 남 규

서울대학교 부교수

전기전자공학

2

황 철 성

서울대학교 부교수

전자재료

3

성 영 은

광주과학기술원 부교수

공업화학

4

이 재 홍

세종대학교 부교수

건축공학

8

(2004)

1

변 재 형

POSTECH 부교수

수 학

2

신 중 훈

KAIST 부교수

물 리 학

3

최 인 성

KAIST 부교수

화 학

4

김 은 준

KAIST 부교수

생물과학

9

(2005)

1

권 영 우

서울대학교 부교수

초주파공학

2

이 정 훈

서울대학교 조교수

기계공학

4

최 원 용

POSTECH 부교수

환경화학공학

10

(2006)

1

김 인 강

서울대학교 부교수

수 학

2

박 동 수

서울시립대학교 부교수

소립자물리이론

3

이 효 철

KAIST 부교수

화 학

4

김빛내리

서울대학교 조교수

생명과학

구 분

성 명

소속 / 직위

전 공

11

(2007)

1

최 성 현

서울대학교 부교수

정보통신

2

강 정 구

KAIST 부교수

나노재료

3

이 태 우

삼성종합기술원 전문연구원

화학공학

4

손 훈

KAIST 부교수

토 목

12

(2008)

1

김 영 훈

서울대학교 부교수

수 학

2

강 성 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

물 리 학

3

최 희 철

POSTECH 부교수

화 학

4

백 성 희

서울대학교 부교수

생명과학

13

(2009)

1

조 광 현

KAIST 부교수

제어공학

2

서 갑 양

서울대학교 부교수

기 계

3

김 상 욱

KAIST 부교수

고 분 자

4

조 계 춘

KAIST 부교수

지반공학

14

(2010)

1

하 승 열

서울대학교 부교수

수 학

2

최 석 봉

서울대학교 부교수

물 리 학

3

박 승 범

서울대학교 부교수

화 학

4

김 윤 기

고려대학교 부교수

생명과학

15

(2011)

1

권 성 훈

서울대학교 조교수

전기공학

2

안 종 현

성균관대학교 조교수

신소재공학

3

정 운 룡

연세대학교 부교수

화학공학

4

김 수 민

숭실대학교 조교수

건 축 학

16

(2012)

1

엄 상 일

KAIST 부교수

수 학

2

최 경 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원

물 리 학

3

남 좌 민

서울대학교 부교수

화 학

4

조 남 혁

서울대학교 부교수

생명과학

17

(2013)

1

박 정 욱

연세대학교 부교수

전기공학

2

강 기 석

서울대학교 부교수

재료공학

3

박 수 진

UNIST 부교수

고분자공학

4

윤 태 섭

연세대학교 부교수

토목공학

18

(2014)

1

현 동 훈

POSTECH 부교수

대수기하학

2

조 경 남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선임연구원

지질학

3

최 태 림

서울대학교 부교수

고분자유기화학

4

김 형 범

한양대학교 부교수

유전자 및 분자생물학

19

(2015)

1

김 선 국

경희대학교 부교수

전기, 전파공학

2

전 석 우

KAIST 부교수

재료공학

3

최 장 욱

UNIST 부교수

화학공학

4

김 동 훈

인하대학교 조교수

환경공학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