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고출력레이저
- 한림원탁토론회
- 인재양성
- 과학난제도전협력지원단
- 젊은과학자
- 카길한림생명과학상
- 코로나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CPA기술
- 인공지능
- IAP
- 과학기술유공자
- 국제한림원연합회
- 과학기술
- Y-KAST
-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 한림원
- 식량영양안보
- 대한민국의학한림원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도나스트리클런드
- 과학난제
- 4차산업혁명
- 한림석학강연
- 영아카데미
- 노벨상
- 공동포럼
- 카길애그리퓨리나
- 한민구원장
- Today
- Total
목록국제교류 및 협력 증진/국제기구 협력 및 교류 (49)
■ 한림원, 2022년도 제 22회 SCA 총회 개최기관 선정 우리 한림원이 아시아학술회의 (SCA: Science Council of Asia)의 2022년도 총회 개최기관으로 선정되었다. SCA는 지난 6월 1일 스리랑카 콜롬보에서 총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의결했다. SCA를 비롯해 스리랑카한림원과 스리랑카과학재단, 일본학술회의 등이 공동 주최한 이날 총회에서는 2020년 제 20회 총회 및 우리 한림원이 개최하게 될 2022년도 총회 개최지 선정이 주요 안건으로 다뤄졌다. 이날 총회에는 우리 한림원의 이명철 원장을 비롯해 윤순창 대외협력담당부원장과 나도선 의약학부 정회원 등이 참석했으며, 'Science for the People: Mobilizing Modern Technologies for ..
84만 일본 과학자들의 대표기관으로 정부에게 조언과 대안 제시[인터뷰]오오니시 타카시(大西 隆) 회장, "SCJ에서 과학계 현안을 총리에게 직접 전달" 일본 동경에 위치한 일본학술회의(Science Council of Japan, SCJ)는 과학이 국가의 모토라는 확신 아래 행정, 산업, 국민생활에 과학을 깊게 뿌리내리기 위해 1949년 설립됐다. 일본의 인문사회과학, 생명과학, 물리·공학 전 분야의 84만 명의 과학자를 대표하는 기관으로 제휴회원 2000여명 중 현역에서 활동하는 210명의 회원을 선발해 임기제로 활동한다. 현재 오오니시 타카시(大西 隆) 회장을 중심으로 3명의 부회장 등이 22기 회원으로 활동 중에 있다. 210명의 회원은 연 2회(4월, 10월) 총회를 개최하며, 매월 간사회를 개최..
아프리카의 과학기술발전을 이끌기 위해 만들어진 아프리카한림원(The African Academy of Sciences: AAS)은 1985년, 개발도상국 과학기술자들이 주축이 돼 만들어진 TWAS(Third World Academy of Sciences)와 같은 해에 설립됐다. 이탈리아 트리에스테(Trieste)에 위치한 국제이론물리센터(ICTP:International Centre for Theoretical Physics)는 개발도상국에게 금전적, 학문적 지원을 함으로써, 선진국과의 과학 발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설립된 곳이다. ICT는 전세계 다양한 국적의 과학자들을 트리에스테에 초청, TWAS의 설립을 논의했고, 트리에스테 총회에 참석한 제3세계 과학한림원과 과학자들이 TWAS의 설립회원으로 구..
공동연구 '맞손'…공동심포지엄 개최 추진 2016년 6월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통계학'을 주제로 제1회 한·몽골한림원 공동심포지엄이 열릴 전망이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KAST)은 몽골한림원(MAS)과 12월 1일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MOU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에 합의했다. 몽골한림원은 이번 MOU 체결을 통해 한국과의 과학기술 교류에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몽골한림원의 학술위원은 총 62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60%는 대학교 소속, 나머지 40%는 몽골한림원 산하의 연구소 소속이다. 몽골한림원 산하에는 11개 연구소가 있다. 협약식에 이어 박성현 원장이 '한국의 과학기술과 혁신의 발전 경험과 미래 전망(Experiences of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
[인터뷰]요르그 하커(Jorg Hacker) 독일한림원장…“한국인 과학자도 선출될 것이라 낙관” 독일레오폴디나한림원(German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Leopoldina·이하 레오폴디나)은 이학・의약학분야에서 전 세계 가장 오래된 한림원 중 하나로 1652년 1월 슈바인푸르트(Schweinfurt)시에 ‘자연에 대한 탐구 아카데미(Academy of the Curious as to Nature)’라는 이름으로 설립됐다. 네 명의 설립멤버는 물리학자들이었다. 1670년 그들은 의약이나 식물학, 생리학 등과 관련한 초창기 과학 논문을 출판하기 시작했고, 1677년 신성 로마 제국의 레오폴디나 1세 황제시대에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처음에 레오폴디나는 대표가 일하는 곳에 위치하며..
전세계 한림원연합회 'IAP' 의장 인터뷰, 역할과 비전 소개 "아시아 협력 위한 KAST 공헌에 감사" 이탈리아 트리에스테(Trieste)에 위치하고 있는 ‘IAP(Inter Academy Partnership)’는 전 세계 과학기술 한림원들의 네트워크로서 회원 한림원들이 세계적인 이슈와 관련해 공공의 이익을 위해 과학적인 비판과 조언을 제시하는 역할을 강화할 수 있도록 움직인다. 이를 위해 IAP는 과학기술 분야의 한림원이 존재하지 않는 국가들이 한림원을 설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역사가 짧거나 규모가 작은 아카데미들이 자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젊은 과학자들이 탄탄한 재정적 지원을 받아 성공적인 경력을 쌓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한 임무다. 특히 IAP는 과학기술한..
1666년 프랑스 정치가 콜베르 창설, 과학교육사업 등 활발히 진행 바흐 사무총장, "중요한 건 '사람', 신청 아닌 발굴시스템으로 회원 구성" 프랑스는 문화, 예술적인 이미지가 강하지만 세계 최대의 경제 블록 EU(European Union:유럽연합) 예산에서 2013년 기준 독일(20%)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부분(18%)을 담당하는 중심 회원국이자, 정부가 국가전체 연구개발 투자의 약 41.5%를 담당할 정도로 연구개발에 대한 정부의 역할이 다른 선진국에 비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다. 또 과학기술 연구개발의 국제적 공조 네트워크를 탄탄히 구축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것도 큰 특징이다. 프랑스에서 중요시 여기는 해외교류 네트워크 구축의 중심에 있는 기관 중 하나가 바로 프랑스과학아카데미(..
1601년 체시 공작 후원으로 설립, 갈릴레오 등 참여 활동 외국인 회원, 과학윤리 분과 운영 등 특징 BC 385년 플라톤은 그리스 아테네 서쪽 교외의 숲에 ‘아카데메이아’라 이름붙인 철학 학원을 설립했다. 일종의 사설 교육기관이었다. ‘아카데메이아’란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영웅신 ‘아카데모스’로부터 따온 것이었다. 이곳에서는 철학을 중심으로 논리와 천문학, 수학, 음악, 웅변 등 다양한 분야를 가르쳤는데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인재를 배출하는데도 목적이 있었다. 후에 아카데메이아는 ‘아카데미’로 변형되면서 고대와 중세의 교육기관을 뜻하는 단어로 사용됐으며 훗날에는 학회란 의미로 확장되어 다양한 학문의 영역에서 결성된 조직이나 가르치는 기관을 뜻하는 단어가 되었다. 아카데미 중에 가장 유명한 기관 중 ..
박성현 원장이 일본 교토서 열린 2014 STS (Science & Technology in Society) 포럼에 참석해 주제발표와 함께 각국 한림원, 학술단체장들과 과학자들의 연구윤리 및 행동강령을 주제로 의견을 교환했다. STS 포럼은 일본 자민당 소속 8선 의원 코지 오미 (Koji Omi) 씨가 주창하여 일본과 미국,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위원회 (STS Council)를 구성해 과학기술의 발전이 인류에게 가져다주는 편익은 물론 탄소배출로 인한 기후변화, 에너지 고갈, 국가 간 불균형 등 부작용에도 주목하여, 지속적인 경제성장, 조화로운 사회발전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2004년 제 1차 연례대회를 시작으로 매년 10월 교토에서 국제포럼을 개최하고 있다. 11번째를 맞는 올해 연례..